어느 방향에서도 감상할 수 있는 입체적인 구성으로 구형, 원추형, 다이아몬드형, 방사선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구성은 평면 구성과 입체형 구성으로 구분합니다.
1. 입체형 구성
둥근형
모든 선들이 화기의 중심점으로부터 사방으로 뻗어 나가는 형태로 전체를 둥글게 꽂는 형태입니다.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에 동일한 시각적 비중을 두며 원 안에 소재가 원의 둘레를 따라 들어가도록 디자인합니다. 다양한 색채의 꽃과 그에 어울리는 화기를 선택하여 클래식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형태입니다.
타원형
타원형은 화기 내에 있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꽃들이 방향성을 갖고 한 방향으로 순환하듯 구성합니다. 부드럽고 풍성한 느낌을 보여줄 수 있는 화형으로 식물이 가지고 있는 형태와 색상을 가장 개성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화형입니다. 이러한 타원형의 특징은 사고방식을 완전히 다르게 변화시키는데 구성, 대비, 선택, 표현 등을 다른 형태와는 다르게 고려해야 합니다. 이 형태는 자연을 존중하는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꽃꽂이의 분위기와 신비성을 강조합니다. 타원형은 포컬 포인트인 중심에서 약간 아래 지점을 중요하게 다루며, 꽃들의 배치와 형상은 타원의 곡선을 따라 우아하고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타원형의 구성은 꽃꽂이 작품을 독특하게 만들어 주며, 예술적인 창의력과 사고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반구형
반구형은 반원의 입체적 구성으로 구를 반으로 나눈 형태입니다. 이 형은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원형으로 보이게 구성하며 대칭 구조가 중요해서 꽃의 길이를 동일하게 잘라주어야 합니다. 동일한 길이의 9송이 매스플라워로 중심을 잡아가며 꽂기 시작합니다. 높이가 낮은 접시나 컵 등 다양한 화기의 활용이 가능한 형태로 평범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여러 가지 꽃을 꽂는 부케 스타일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디자인 가능합니다. 간결하고 실용적인 형으로 테이블이나 식탁, 책상 등 어떠한 장소에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원추형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화형으로 사방이 모나지 않고 둥글게 꽂습니다. 꽃, 열매, 과일을 이용하여 꽂기도 하는 형으로 '비잔틴 콘'이라고도 합니다. 색상이 화려한 꽃을 집중해서 배치하고 과일이나 열매 등을 가미하였던 디자인으로 주로 교회장식이나 넓은 실내용 장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구형과 마찬가지로 어느 위치에서 보아도 아름답게 보이도록 입체감을 살려 디자인합니다.
다이아몬드형
다이아몬드 스타일은 탁상화의 기본입니다. 꽂기 쉽고 응용범위가 넓어서 실용적인 형태입니다. 전체적으로 수평형과 비슷한 구성이지만 마름모의 각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화기는 꽃으로 덮을 수 있는 접시 같은 키가 낮은 화기를 선택합니다.
수평형
고대 시대에 제단에 꽃을 장식하는 데 사용했던 디자인으로 낮은 형태가 안정감 있고 평온해 보입니다. 중심선으로부터 양 방향에 동일한 시각적 비중을 주며 상부는 높이가 낮은 완만한 곡선을 주어 수평적인 형태의 구성으로 평면구성과 입체구성이 있습니다.

구형
구형은 공처럼 구체 형태를 유지하며 꽃을 꽂는 형태로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같은 모양과 색의 조합을 배치를 합니다. 포컬포인트에 크고 모양이 좋은 꽃을 꽂으며 빈 공간은 잎으로 마무리합니다.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하며 제단이나 벽난로 위에 평면적인 디자인으로 이용합니다.

2. 평면 구성
부채형
부채를 편 모양의 구성으로 포컬 포인트가 방사선으로 구성됩니다. 중요 포인트에 라인플라워로 부챗살 형태를 잡아주고 빈 공간은 필러플라워와 잎으로 마무리합니다. 부채를 펴는 각도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형태입니다. 교회의 장식이나 축하, 근조화환에서 주로 사용되며 단일 색 조합도 가능하고 여러 가지 색을 이용한 화려한 디자인도 만들 수 있습니다. 제단이나 벽을 배경으로 장소에 장식하면 좋습니다.
방사선형
중심의 한 점으로부터 방사선 모양으로 선이 뻗어 나가는 형태입니다. 평면이 아닌 입체적 방사선으로 공간을 장식합니다. 화기는 키가 높은 것이 좋습니다.
대칭삼각형
대칭삼각형은 양쪽의 소재를 같은 비중의 삼각형 형태로 배치하는 형태입니다.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기하학적인 형태가 안정감을 주는 구성입니다.
비대칭 삼각형
시각적으로 안정되고 인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좌우 비중이 다른 직각삼각형이나 세 변의 길이가 다른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합니다.

입체형 꽃꽂이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공간을 장식하고, 감상할 때 입체적인 느낌과 아름다움을 전달합니다. 각각의 형태는 장소와 목적에 맞게 선택되며, 창의적인 사고와 조화로운 디자인이 요구됩니다.
꽃꽂이 형태 분류(선형)
꽃꽂이는 장소,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표현 방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본 디자인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고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해 지속적으로 반복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서양 꽃
flart.tistory.com
꽃의 형태와 꽃꽂이 꽃 종류
꽃의 형태에 따라 꽃꽂이 꽃 종류를 알아가는 것은 작품을 디자인하는데 기초가 됩니다. 꽃의 형태를 분류하는 방법은 크기, 부피, 질감, 선적인 느낌 등 여러 특징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나눕니
flart.tistory.com
'꽃꽂이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이플라워 만들기 및 꽃 말리기 (0) | 2023.05.29 |
---|---|
절화의 특징과 생화 오래 보관하는 방법 (1) | 2023.05.28 |
꽃꽂이 형태 분류(선형) (0) | 2023.05.26 |
꽃의 형태와 꽃꽂이 꽃 종류 (0) | 2023.05.25 |
제비꽃의 꽃말과 특징 (1) | 2023.05.21 |
댓글